본문 바로가기

허리운동3

일자허리의 모든것 (잘못된 상식/치료방향) 일자 허리는 허리가 특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가리키며, 주로 서있는 동안 발생하는 자세적인 문제로 일자 허리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허리 근육의 불균형이나 자세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장시간 앉아있거나 일하면서 허리를 과도하게 사용할 때 흔히 나타난다. 이는 허리 통증, 디스크의 이상, 신경의 압박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자세 교정과 근력 운동이 필요하다. 주요원인 일자허리의 주요 원인은 사람마다 체형이 다르고, 정상적인 척추 곡률도 다르며, 무엇이 일자허리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서 커브를 단순히 기준으로 삼으면 안된다. 대신에 일자허리의 유무는 개인의 허리 통증 여부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허리 통증의 유무를 기준으로 하여 개인의 허리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 2024. 2. 16.
물리치료사가 보는 허리디스크 운동법(후방사슬) 허리디스크는 척추 디스크의 외부 부분이 손상되어 내부의 견인성 젤 상태로 불어나거나 나오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허리디스크는 주로 척추 디스크의 노화, 손상, 혹은 갑작스러운 힘을 가해 받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사가 허리디스크에 대한 공부를 시작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허리디스크 해부학적 이해: 허리디스크의 원인, 형성 과정, 그리고 관련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척추, 디스크, 신경 구조의 구조와 기능을 숙지하면 환자의 증상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의 증상: 허리디스크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허리 통증, 다리 통증, 허리에서 다리로 향하는 통증, 근육 약화, 그리고 신경절 압박 등이 허리디스크의 일반적인.. 2024. 2. 11.
척추기립근(척추세움근:erector spine) 1. 전체적인 내용 정리: 역할(Role): 척추 기립근은 척추를 지지하고 안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근육 구성(Muscle Composition): 주로 허리와 다리 부위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활동 범위(Range of Motion): 허리를 앞뒤로 움직이는 동작에서 주로 작용하며, 일상 생활의 다양한 동작에 참여합니다. 2. 움직임: 주된 움직임(Primary Movement): 척추 기립근은 허리를 앞으로 굽히고 또는 펴는 움직임을 담당합니다. 3. 기시/정지: 기시(Insertion): 척추 기립근은 척추의 후면 부분에 부착합니다. 정지(Origin): 허리 부위의 척추뿐만 아니라 골반 끝부분과 척추의 이물질 과정에서도 기인합니다. 4. 특이사항: 과도한 사용(Excessive Use.. 2024. 1. 15.